[칼럼]개의 슬개골탈구, 언제 수술을 해야 하나?
- PET MEDICAL / 윤병국 수의사 / 2017-11-25 18:30:49
![]() |
반려견이 슬개골 탈구라고 해도 무조건 수술하는 것이 아니라 수의사와 상담해 진행해야 한다.[사진=청담우리동물병원] |
겨울철 날씨가 추워지면서 반려동물도 운동을 안 하다가 갑자기 움직임이 강해진다든지, 평소 많이 사용하지 않던 관절의 가동범위 이상으로 무리하게 사용을 하면 통증으로 연결이 될 수 있다. 즉 한쪽 다리를 든다든지 절뚝거림이 바로 불편함과 통증을 나타내는 증상일 수 있다.
개의 관절 질환 중 압도적으로 많은 슬개골 탈구는 평소 소인이 있는 아이들의 경우(말티즈,푸들, 포메라니안, 치와와 등의 소형견) 대부분 무리한 운동으로 혹은 뒷다리의 발란스에 문제가 생기는 무게중심을 뒀을 때 무릎에 무리를 줘 절둑거림으로 병원을 찾게 된다. 물론 슬개골탈구는 선천적 요인이 많은 질환이며, 후천적인 요인으로 더 진행될 수 있다.
보호자들은 대부분 평소에는 괜찮았는데 왜 갑자기 그러는 건지 의아해하지만 대부분 슬개골 탈구를 가지고 있는데 통증을 나타내는 증상을 보이지 않았을 뿐 내측 혹은 외측 탈구를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렇다면 꼭 모든 슬개골 탈구 반려견들은 꼭 수술해야 할까? 그렇지 않다. 물론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지만 뼈가 빠진다고 모두 응급으로 바로 정복 수술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다. 심장병이나 호흡곤란처럼 말 그대로 생사와 관련되는 응급질환은 아니다. 하지만 주치의와의 꼼꼼한 진료상담 및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수술에도 때가 있기 때문이다.
기수가 낮고 몸무게가 적게 나가며 보호자가 잘 관리할 수 있는 집안이 환경적 요소가 갖춰졌다면 수술을 보류하고 정기적으로 관절을 체크해 필요하면 적절한 투약 혹은 물리치료나 재활치료를 통해서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주치의의 판단에 수술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꼭 적절한 시기에, 즉 늦지 않게 수술을 최대한 빨리해주는 것이 좋다. 늦지 않는 시기라는 것은 보행에 힘든 영향을 줄 정도로 관절 섬유화가 이미 진행이 된 경우까지 일컫는다.
모든 질병에는 적절한 치료 시기가 있다. 슬개골 탈구도 마찬가지다. 위에서 언급한 품종에 해당하거나 평소 과체중에 무리한 운동하는 습관을 지닌 반려견이라면 뒷다리를 절거나 슬개골 탈구 통증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그리고 십자인대가 끊어지기 전에 수의사의 진료를 꼭 받아보는 것을 적극 권장한다.
![]() |
[ⓒ 펫이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