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창원 의원 '동물 임의도살' 금지 대표발의

PET LIFE / 김선영 / 2018-06-21 15:24:25
  • 카카오톡 보내기
"동물보호법, 선언적인 의미서 벗어나 현존하는 동물문제 실질적 해결될 수 있어야 해"
20일 표창원 의원은 '동물보호법의 학대 등의 금지' 요건에서 동물의 도살 행위를 규정하는 법안을 발의했다.[사진=표창원 SNS]

표창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일 '축산물 위생관리법'에 적용되지 않았던 동물에 대한 도살 행위를 규정 및 단속하기 위한 법안을 발의했다.


20일 표 의원은 '동물보호법의 학대 등의 금지'의 요건에서 '동물의 도살'을 명시적으로 금지하는 '동물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고 밝혔다.


개정법안은 동물을 임의로 죽이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하되 '축산물 위생관리법' '가축 전염병 예방법' 등 법률에 의하거나 사람의 생명·신체에 대한 위협을 막기 위한 경우 등에 한해 동물 도살을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동물의 도살 방법에 대해서도 '동물의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따라야 한다는 조항을 넣음으로써 '생명존중의 가치' 위에서 동물복지를 실현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현행 동물보호법에 따르면 목을 매다는 등의 잔인한 방법을 사용하거나 노상 등 공개된 장소에서 죽이는 행위, 다른 동물이 지켜보는 앞에서 동물을 죽음에 이르는 행위 등을 금지하고 있다(동물보호법 제8조 1항) 동물의 도살 방법에 대해서는 '불필요한 고통이나 공포, 스트레스를 주어서는 아니 된다'라고 명시하고 있다(동물보호법 제10조 1항).


그러나 이 조항은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동물의 도축 및 학대 행위를 방지하거나 처벌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불법도 합법도 아닌 영역에서 잔혹한 방식으로 도축되는 동물의 도살을 규제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표 의원은 "생명존중의 원칙 위에서 동물을 잔혹하게 죽이는 행위를 근절하기 위해 선결해야 할 과제는 동물의 '임의 도살이 금지된다는 원칙'을 세우는 것"이라며 "이번 동물보호법 개정으로 동물의 무분별한 도살을 제한할 수 있는 법률상의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표 의원은 "91년도 동물보호법 제정을 계기로 동물보호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넓혀왔으나 여전히 부족한 점이 많다"며 "앞으로의 동물보호법은 선언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현존하는 동물 문제를 실질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개정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 펫이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카카오톡 보내기